전체 글207 GS와 카카오뱅크 콜라보-춘식이 보냉백 혹시 카카오뱅크 이용하시나요? 저는 잘 쓰는 편입니다. 특히 26주 적금이요. 비상금 마련에 제격이에요. 간간히 타 기업들과 콜라보 26주 적금을 내어놓는데, 생각보다 재미있고 리워드도 쏠쏠합니다. 얼마 전에 GS리테일과 콜라보한 26주 적금 상품이 출시되었었습니다. 추첨을 통해 춘식이 보냉백을 준다니! 비주얼로 합격~ 당장 적금을 가입해버린 1인.. ㅋㅋ 물론 추첨이긴 하지만 1주에 천원씩 증액으로 가입하면 총액이 크지 않아서 가입하기 부담 없는 금액이거든요. 가입이 완료되면 이제 하늘이 당첨을 비는 것 만 남는 것...! 현실은 할 일들에 치여 잠시 잊은 사이.. 당첨 안내 문자가 왔습니다..!! 오예!!! >. 2023. 1. 10. 그린워싱 2편, 실제 사례 살펴보기 안녕하세요, 지난번엔 그린워싱의 의미와 대표 사례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2022.12.27 - [아몬드네 관심거리] - 환경적인 척, 기억하자 그린워싱 (위장환경주의) 1편 환경적인 척, 기억하자 그린워싱 (위장환경주의) 1편 혹시 환경에 관심이 많으신가요? 집에 텀블러와 에코백을 몇 개나 가지고 있으신가요? 그린워싱이란? 기업들이 자신들의 영업방침, 생산 물품들이 친환경, 녹색 경영인 것 처럼 홍보하지만 실질 forest987.com 이번 글에서는 그린워싱의 7가지 유형과 실제 사례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필환경시대가 된 요즘, 많은 사람들이 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필품의 대부분이 소모품인데 사용 후 나오는 폐기물들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고르거나, 환경에 영향을 적게 주고 생산되.. 2023. 1. 7. 제설제의 오해와 진실 제설의 구분 제설은 물리적 제설과 화학적 제설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물리적 제설은 말 그대로 물리적으로, 직접적으로 눈을 치우는 일이며, 예를 들자면 빗루나 삽 등의 도구로 눈을 밀고 쓸며 치우는 것을 말합니다. 범위가 너무 넓은 지역, 구조가 복잡한 지역은 물리적 제설에 한계가 있습니다. 도로의 경우 제설차 등을 이용하여 작업을 진행하지만, 도로가 복잡하고 차량, 도로시설물 등의 구조물이 많아서 모든 구역의 제설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때문에 물리적 제설의 한계가 있는 지역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연탄재나 모래 등을 뿌려두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도로가 오염되는 문제 때문에 요새는 선호되지 않는 편입니다. 그래서 다른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이 화학적 제설입니다. 간단히, 제설제를 사용하는 것.. 2023. 1. 4. 환경적인 척, 기억하자 그린워싱 (위장환경주의) 1편 혹시 환경에 관심이 많으신가요? 집에 텀블러와 에코백을 몇 개나 가지고 있으신가요? 그린워싱이란? 기업들이 자신들의 영업방침, 생산 물품들이 친환경, 녹색 경영인 것 처럼 홍보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친환경과 거리가 먼 경우를 말합니다. 한글순화어로는 '위장환경주의'라고 표현하며, 간단히 말해 친환경이 아닌 제품을 친환경제품인 것처럼 보이게 홍보하는 것입니다. 요새 많은 사람들이 접하고 쉽게 그린워싱이 될 수 있는 상품 중 하나는 바로 '텀블러'입니다. 환경을 위해 텀블러를 꾸준히 사용하는 것은 분명히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환경을 위할 수 있는 행동입니다. 다만 지속성이 꼭 필요합니다. 약 1000회 이상의 사용을 목표로 텀블러를 구매하고 사용해야지 진짜 친환경인 것입니다. 왜냐하면 텀블러를 생산하는 데에도.. 2022. 12. 27. 겨울 대표 국민 과일, 감귤 알고 먹기- 품종 정리 감귤의 역사 감귤, 겨울하면 떠오르는 1등 과일입니다. 집 안에서 따뜻한 담요를 두르고 상큼 달콤한 귤을 까먹는 것은 겨울의 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귤은 과거에는 그야말로 귀한 몸이었다고 합니다. 임금님께 진상되고 일부 양반들과 성균관 유생들에게 일부 하사되던 고급 과일이었습니다. 껍질마저도 약재로 귀하게 쓰였습니다. 1902년 경 온주밀감이 국내로 들어오면서 감귤의 보급화는 조금씩 시작되었습니다. 프랑스 출신 신부가 15그루를 들여온 것이 시초라고 합니다. 일본 농민회로부터 온주밀감, 하귤, 기주밀감, 팔삭 등의 품종이 제주도로 전파되었는데, 당시에는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농업이 황폐해진 상태였기에 그다지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합니다. 해방 이후에 감귤이 소득을 창출해내기 시작하면서 감귤 재배 면.. 2022. 12. 22. 무슨 딸기를 먹을까? - 딸기 품종과 특징 바야흐로 딸기가 가장 맛있는 시기입니다. 딸기는 본래 봄이 제철인 과일이지만 이제는 겨울과일 하면 떠오르는 대표 과일이 되어 버렸습니다. 봄에 나오는 딸기보다 겨울에 나오는 딸기가 더 맛 좋다는 사실! 왜냐하면 겨울철에는 낮은 온도 환경에서 서서히 열매가 자라, 무르익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봄철에 나온 딸기보다 높은 당도와 낮은 신맛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완숙된 상태에서 수확하여, 냉장 유통을 하게되는 과정에서 당도가 좀 더 올라가게 된다고 합니다. 단지 가격이 더 높다는 게 문제겠습니다. 본격적으로 하우스 딸기들이 출하되면서 마트 매대에 새빨간 딸기들이 줄지어 늘어서기 시작했습니다. 초반에는 딸기 수급이 좋지 않아서 딸기 가격이 말이 아니었는데 이제 좀 나아진 것 같습니다. 남녀노소를 가리지.. 2022. 12. 17.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35 다음